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전용면적과 공급면적, 뭐가 다를까?

by y-dream.kr 2025. 4. 7.

 

아파트를 알아보거나 청약에 지원할 때 흔히 접하게 되는 용어가 있습니다. 바로 전용면적과 공급면적입니다. 얼핏 보면 비슷해 보이지만, 실제로는 큰 차이가 있고 내 집 마련의 핵심 정보이기도 합니다.

 

이 글에서는 전용면적과 공급면적의 차이를 쉽게 설명하고, 청약 시 주의할 점과 실거주에 적합한 면적 고르는 팁까지 알려드릴게요.

 

 

전용면적·공급면적이란?

 

전용면적은 말 그대로 내가 실제로 사용하는 공간을 의미합니다. 침실, 거실, 주방, 욕실, 내부 복도 등이 포함되며, 내 집 안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.

 

반면, 공급면적은 전용면적에다 계단, 복도, 엘리베이터 등 공동으로 사용하는 면적의 일부가 포함된 개념입니다. 즉, 전체 아파트 단지의 구조상 나에게 배정된 '총 면적'이지만, 그 중 일부는 내가 쓸 수 없는 공간이라는 뜻이죠.

 

예시:

  • 전용면적: 85㎡
  • 공용면적(할당된 공동공간): 35㎡
  • 공급면적: 85㎡ + 35㎡ = 120㎡

 

하지만 실제로 쓸 수 있는 공간은 85㎡뿐입니다.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건 결국 전용면적입니다.

 

청약 시 면적 확인 꿀팁

 

한국의 아파트 청약 시장에서는 종종 '공급면적 기준'으로 평형을 표기하는 경우가 많습니다. 이 때문에 실제보다 넓다고 착각하기 쉽죠.

1. 전용면적 먼저 확인하세요
공급면적이 넓어 보여도, 전용면적이 작으면 실제 체감 공간은 좁을 수 있습니다. 브로셔나 홈페이지에서 반드시 전용면적을 따로 확인하세요.

2. 전용면적/공급면적 비율 계산
전용면적이 공급면적의 80% 이상이면 꽤 넓은 실사용 공간이라고 볼 수 있어요. 반면 60~65% 수준이면 실거주는 다소 불편할 수도 있습니다.

3. 평면도 확인은 필수
수치만 보지 말고, 실제 구조를 눈으로 확인하세요. 벽이 많거나 동선이 복잡하면 넓어도 불편할 수 있어요.

4. 중개인에게 두 면적 모두 요청
정직한 중개인이라면 두 면적 모두 알려주고, 비율까지 설명해 줄 것입니다. 모호하게 넘어가려 한다면 한 번 더 확인하세요.

 

실거주에 유리한 면적 고르는 법

특히 자가로 실거주할 아파트를 고를 때는, 숫자보다 실제 거주감이 중요합니다.

 

1. 전용면적이 넓을수록 좋다

내가 쓸 수 있는 공간이 넓다는 건 곧 거주 만족도가 높다는 뜻입니다. 침대, 식탁, 수납공간 등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요.

 

2. 숫자보다 '느낌'이 중요

공급면적은 숫자만 커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. 120㎡라고 해도, 전용면적이 75㎡면 생각보다 좁게 느껴질 수 있어요.

 

3. 구조가 효율적인지 체크

같은 전용면적이라도 평면 구조에 따라 체감 넓이가 다릅니다. 거실이 좁고 방이 많은 구조는 답답할 수 있어요. 가구 배치가 편한 직사각형 구조인지 확인해보세요.

 

4. 내 라이프스타일에 맞는지 고민

  • 가족이 많거나 아이가 있는 집: 넓은 전용면적이 필수
  • 1~2인 가구: 구조가 더 중요할 수 있음
  • 재택근무 위주 생활: 여유 공간 확보는 필수